취준 후기

2022 하반기 SK C&C Software Engineering 면접 후기

D_Cloudy 2023. 1. 22. 01:12

서류 - 합격

자기소개서는 '높은 목표 설정', '기존의 틀을 깨는 과감한 실행', '직무전문성' 세 가지였으며 직무전문성에서 3개의 경험을 작성하여야 하기에 적어도 3개의 프로젝트 또는 경험이 있어야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인성검사 + 코딩테스트 - 합격

코딩테스트는 120분, 4문제로 진행되었습니다.

당시에 전날 음식을 잘못먹었는지 아침부터 속이 좋지 않아서 게워내고 시험에 응시하였으며 컨디션이 상당히 좋지 않았습니다.

사실 난이도도 정확히 기억나지 않으며 어떻게 문제를 풀었는지도 기억나지 않지만 1문제는 확실히 풀었으며 1문제는 일반적인 테케는 다 맞으나 히든 테케를 놓친 것이 명확한데 해결하지 못한 상태로 제출하였습니다.

아마 당시에 삼성 계열사와 LG CNS, SK C&C까지 코딩테스트가 진행되는 날이 같았기에 상대적으로 커트라인이 낮아졌던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종면접(인성, 직무, Group Activity) - 불합격

온라인으로 3가지의 면접이 대기시간 포함하여 총 2시간가량 진행되었으며 진행 순서는 조에 따라 달랐습니다.

그리고 제 전공까지 모를 정도로 블라인드로 진행되었으며 철저하게 자기소개서에 작성한 내용으로만 파고들어 오는 방식이었습니다.

 

1) SK Value(인성) 인터뷰

면접자 1명, 면접관 2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Q. 1분 자기소개

('특이한 이력이 있으시네요. 단과대학 학생회장을 하였다고요?'로 시작하여 관련 질문이 대부분이었습니다.)

Q. 학생회장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Q. 팀원에게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Q. 학생들에게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Q. 힘든 부분은 무엇이 있었는지?

Q. 어떤 서비스를 하고 싶은지?

Q. 궁금한 것은 없는지?

Q. 마지막으로 말하지 못한 얘기나 포부 한마디?

 

2) 직무 인터뷰

면접자 1명, 면접관 2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Q. 프로젝트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위의 질문을 시작으로 대답하면서 나오는 키워드마다 질문이 추가로 이어졌습니다.)

Q. Javascript와 React의 차이가 무엇인지?

Q. API에서 get, post, put의 차이가 무엇인지?

Q. Frontend 역할을 할 때, 가장 신경을 쓴 부분은 무엇인지?

Q. 자신있는 역량이 무엇이고 어떤 일이 하고 싶은지?

Q. MongoDB를 사용한 이유는?

Q. MongoDB를 안 썼다면 효율이 안 나왔을 것 같은지?

아무래도 프로젝트를 프엔과 빅데이터를 가지고 면접에 참여하였기에 프론트에 대한 부분도 분명히 질문이 있었지만, CS질문으로 DB 관련 질문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이 또한 철저하게 작성한 내용, 답변에서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외의 질문은 없었습니다.

 

3) Group Activity

기업 A, 기업 B가 나오고 기업마다 협상에서 원하는 부분과 가진 기술과 같은 내용이 제공됩니다. 그리고 자율적으로 어떠한 기업의 입장에서 할 것인지 정하고 팀을 나눈 뒤, 팀끼리의 시간을 잠시 가지게 됩니다. 이후 협상을 진행하고 최종적인 결론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학생회장과 관련하여서는 스토리를 이전부터 정리를 해두었기에, 인성 인터뷰는 이때까지 보았던 면접 중에 가장 잘 보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어진 직무 인터뷰에서는 타이밍상 그랬을 수 있으나 프론트엔드를 언급하였을 때 작게 한숨을 내쉬는 것을 들었습니다. 채용하는 직무가 프론트와는 거리가 있다는 생각에 걱정하고 면접에 참여하였으나 시작부터 이러한 일이 있었기에 사실 멘탈을 관리하기 힘들었습니다. 더구나 보통 '반년 혹은 1년도 안되는 시간동안 이 정도의 성취를 얻어냈고 넓게 역량이 있다.'라는 것을 장점 중에 한 가지로 가지고 가는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전공마저 블라인드로 진행되었기에 이를 언급하기는 어려웠으며 금융이 아닌 이상 넓기보단 깊은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이 면접을 기점으로 SSAFY가 끝나고나서는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쪽이 했던 역할을 하나하나 학습하며 진행해보고자 하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Group Activity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기에 대면으로 말을 주고받는 것보다 느리게 진행되었습니다. 저뿐 아니라 다른 분들도 사운드가 겹치는 것을 우려하여서 이러한 현상이 나왔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