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 후기
2022 상반기 개발자 취준 후기
D_Cloudy
2023. 1. 7. 21:49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7기에 비전공으로 들어오며 1월부터 언어, 알고리즘, 개발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경험이 없는 비전공자이고 2학기에 프로젝트가 진행되기에, 상반기에는 알고리즘 실력을 올리는 것과 코딩테스트를 경험을 해보는 것을 중점으로 두었습니다.
지원 기업 : LG전자 VS연구소, LG CNS,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하나은행, DGB대구은행, 우리은행
정리 : 1차전형(6/9), 2차전형(1/6), 3차전형(1/1), 최종전형(0/1)
1차전형 탈락
- LG CNS, IT(Data, DX) : 서류탈락
- 한국주택금융공사, IT(비수도권) : 서류탈락
필기에 대한 준비가 전혀 되지 않았지만 공기업 중에서 소수의 기업만 친다는 코딩테스트를 치는 곳이었습니다. 필기(50), 코테(50)이기에 지원하였으나 공기업 느낌에 맞는 자소서를 뽑아내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 하나은행, 디지털 : 서류탈락
2차전형 탈락
- LG전자 VS연구소, SW R&D : 코딩테스트 탈락
자소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었기에 처음 코테를 경험해보기 위해 응시하였던 기업이었습니다. 오전보다는 낮이나 저녁에 문제를 푸는 것에 익숙하였기에 오전에 칠 때는 상당히 평소와 다름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120분, 3문제(알고3), 사용가능 언어 : C, C++, Java, Python - IBK기업은행, 디지털 : 필기 탈락 (미응시)
- KB국민은행, IT : 코딩테스트 탈락
상반기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쉽게 나왔습니다. 당시에 SQL은 학습한 적이 없었기에 한 문제를 버리고 시작했던 것이 영향이 컸다고 판단됩니다. 서류 전형에서는 슈퍼앱에 대한 이야기를 메인주제로 가져갔습니다.
120분, 4문제(알고3, SQL1) - 새마을금고중앙회, IT : 필기 탈락
1차전형에서 서류와 코딩테스트를 둘 다 보는 곳이었습니다. 코딩테스트 문제 수준은 기본기가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는 수준의 문제라고 판단되었습니다. 그리고 배수가 공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필기에서 상당수가 떨어지는 구조는 아닌 것으로 보였습니다. 필기 문제는 컴퓨터 일반을 중심으로 한다면 풀 수 있는 문제로 보였습니다.
(코테) 120분, 4문제
(필기) 120분, NCS(40문항), 금융상식(20문항), 전산이론(40문항), 주관식(복수의 정답 고르기) 존재 - 우리은행, IT : 코딩테스트 탈락 (미응시)
3차전형 합격, 최종전형 탈락
- DGB대구은행, 디지털/ICT : 1차면접(인성, 직무) 합격, 최종면접(임원) 탈락
SSAFY 특별채용으로 진행되었던 전형입니다. 부족함이 많은 상태로 운 좋게 최종까지 갈 수 있었다고 생각하며 다음 게시글을 통해 따로 정리하겠습니다.
당시에 알고리즘은 SWEA, 백준,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교재를 활용하며 스터디도 진행하며 학습하였습니다.
코딩테스트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문제의 수준, 난이도가 아닌 평소에 문제를 푸는 습관, 당일의 컨디션을 좋게 하는 것, 빠르게 문제를 버리거나 선택할 수 있는 판단이라고 느낄 수 있는 상반기 취준이었습니다.
그리고 경험을 통해 이후의 코딩테스트에서는 응시시간보다 2~3시간 정도는 일찍 일어나서 준비하고 응시하는 방향으로 하였습니다.